주가봉 대한민국 대사관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주가봉 대한민국 대사관은 가봉에 주재하는 대한민국 외교 공관이다. 1960년 가봉 독립과 동시에 대한민국이 국가 승인을 한 후 1962년 수교, 1973년 대사관을 개설했다. 1975년 가봉 대통령의 방한 이후 양국 간 정상회담이 이루어졌으며, 자원 개발 및 인프라 건설 분야에서 협력 관계를 맺어왔다. 역대 대사로는 김창훈, 김해선, 함태혁 등이 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가봉-대한민국 관계 - 주한 가봉 대사관
주한 가봉 대사관은 대한민국 주재 가봉 외교 공관이며, 대한민국 정부와의 외교, 통상 진흥, 자국 외교 정책 및 문화 홍보, 자국민 보호, 여권 및 사증 발급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. - 대한민국의 재외 공관 - 주로스앤젤레스 대한민국 총영사관
주로스앤젤레스 대한민국 총영사관은 대한민국 외교부 산하 재외공관으로 캘리포니아주 남부, 애리조나주, 뉴멕시코주를 관할하며, 한국계 주민들의 영사 업무 지원과 더불어 로스앤젤레스 한국문화원, 로스앤젤레스 한국교육원을 통해 한국 문화와 교육을 홍보한다. - 대한민국의 재외 공관 -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
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은 미국에 주재하며,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 이후 외교 관계를 맺고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대사를 파견했으며, 현재 워싱턴 D.C.에 위치하여 9개의 총영사관 등을 운영하며 바하마를 겸임한다.
주가봉 대한민국 대사관 - [정부기관]에 관한 문서 | |
---|---|
기본 정보 | |
이름 | 주가봉 대한민국 대사관 |
현지어 이름 | Ambassade de la République de Corée au Gabon |
설립일 | 1973년 5월 5일 |
관할 국가 | 가봉 |
겸임 국가 | 상투메 프린시페 적도 기니 |
소재지 | 리브르빌, 가봉 |
기관장 성명 | 신송범 |
기관장 직책 | 대사 |
웹사이트 | 주가봉 대한민국 대사관 |
2. 역사
대한민국은 1960년 8월 17일 가봉 독립과 동시에 국가 승인을 한 후 1962년 10월 1일 수교하였으며, 1973년 5월 5일 주가봉 대한민국 대사관을 개설하였다.[1][2] 1975년 6월에는 주한 가봉 대사관이 설치되었다.[1][2]
1975년 7월 오마르 봉고 대통령이 대한민국을 방문하였고, 아프리카 국가 지도자로는 처음 한국을 방문했다.[1][2] 그 뒤 1982년 8월 전두환 대통령이 가봉을 방문한 데 이어 1984년 9월 봉고가 다시 방한하여 양국 정상회담을 가졌으며 1996년 8월에는 비공식 방한하였다.[1][2] 그의 아들인 알리 봉고 현 대통령도 2010년 10월 이명박 대통령 초청으로 방한하는 등 자원 개발 및 인프라 건설 분야에서 밀접한 협력 관계를 맺어오고 있다.[1][2]
2. 1. 수교 초기
대한민국은 1960년 8월 17일 가봉 독립과 동시에 국가 승인을 한 후 1962년 10월 1일 수교하였으며, 1973년 5월 5일 주가봉 대한민국 대사관을 개설하였다.[1][2] 1975년 6월에는 주한 가봉 대사관이 설치되었다.[1][2]2. 2. 관계 발전
대한민국은 1960년 8월 17일 가봉 독립과 동시에 국가 승인을 한 후 1962년 10월 1일 수교하였으며, 1973년 5월 5일 주가봉 대한민국 대사관을 개설하였다.[1][2] 1975년 6월에는 주한 가봉 대사관이 설치되었다.[1][2]1975년 7월 오마르 봉고 대통령이 대한민국을 방문하였고, 아프리카 국가 지도자로는 처음 한국을 방문했다.[1][2] 그 뒤 1982년 8월 전두환 대통령이 가봉을 방문한 데 이어 1984년 9월 봉고가 다시 방한하여 양국 정상회담을 가졌으며 1996년 8월에는 비공식 방한하였다.[1][2] 그의 아들인 알리 봉고 현 대통령도 2010년 10월 이명박 대통령 초청으로 방한하는 등 자원 개발 및 인프라 건설 분야에서 밀접한 협력 관계를 맺어오고 있다.[1][2]
2. 3. 최근 동향
알리 봉고 대통령이 2010년 10월 이명박 대통령 초청으로 방한하여 자원 개발 및 인프라 건설 분야에서 밀접한 협력 관계를 맺어오고 있다.[1][2] 2023년에는 신송범 대사가 부임하였다.3. 역대 대사
대수 | 이름 | 신임장 제정 |
---|---|---|
1 | 김창훈 | 1974년 9월 5일 |
2 | 김해선 | 1978년 8월 3일 |
3 | 함태혁 | 1981년 9월 7일 |
4 | 윤억섭 | 1983년 2월 19일 |
5 | 황남자 | 1984년 9월 13일 |
6 | 박창일 | 1989년 4월 25일 |
7 | 최낙천 | 1992년 4월 30일 |
8 | 방병채 | 1995년 4월 4일 |
9 | 강선용 | 1997년 11월 30일 |
10 | 오상식 | 2000년 8월 30일 |
11 | 조원호 | 2003년 7월 1일 |
12 | 엄성준 | 2007년 3월 27일 |
13 | 김성진 | 2010년 3월 14일 |
14 | 최철규 | 2013년 6월 25일 |
15 | 박정남 | 2016년 11월 11일 |
16 | 류창수 | 2019년 11월 18일 |
17 | 신송범 | 2023년 1월 14일 |
참조
[1]
뉴스
한-가봉 정상 "자원.인프라 개발 협력"
https://n.news.naver[...]
연합뉴스
2010-10-25
[2]
뉴스
"[청와대파일] 대를 잇는 가봉 대통령과의 인연"
https://www.mk.co.kr[...]
매일경제
2010-11-10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